반응형
백의관음(白衣觀音)
하얀 옷을 입은 관음보살님으로서 청정(淸淨)을 의미한다.
하얀 연꽃 위에 앉아계셔서 백처존(白處尊)이라는 곳에서 유래하였다.
대백의관음, 백의관자재모(白依觀自在母)이라고도 불린다.
본래는 인도에서 발생된 신앙으로서 중국의 수월관음보다 오래전에 성립되었지만
당나라 말 때부터 수월관음상에 흰옷을 입히기 시작하면서 두 가지의 신앙이 융합되었다.
하지만 흰옷을 입었다고 해서 모두 백의관음으로 보기는 힘들다.
백의관음은 성관음 중 대표적인 관음으로, 33신에 나오는 비구니신이 이에 대응한다. 성관음은 정관음(正觀音)이라고도 하며 가장 원형적인 관음으로서 관음경에 그 근거를 두고 있는데, 후세에 성립된 변화된 관음과 구별하기 위하여 그러한 이름이 주어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백의관음 [白衣觀音]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의 불화), 2002., 한국콘텐츠진흥원)
백의관음은 다정한 모습으로 순조로운 출산과 그 아이의 생명을 구하고 보살피는 관음이다.
백의관음은 베일이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법의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가슴 앞으로 모으고 있는 듯하다.
두 발은 피어있는 연꽃 2개를 딛고 있다.
*와룡당 상담문의 및 예약
*카톡ID;waryoungdang
*예약전화;010-8666-7921
*월~일 오전10시~오후9시까지(전화상담 및 방문상담)
전화상담은 당일예약 가능하시며 전화나 카톡으로 문의바랍니다.
*외국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카톡(보이스톡)으로 상담 가능하십니다.
(카톡으로 먼저 문의 주세요)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와룡당 | 와룡당 | 경기도 일산동구 장항동 중앙로1275번길 38-10 우림로데오스위트 | 사업자 등록번호 : 248-37-00419 | TEL : 010-8666-7921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8-고양일산동-0198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관음보살-청경관음(靑頸觀音) (0) | 2019.07.09 |
---|---|
33관음보살-시약관음 (0) | 2019.07.08 |
선재동자(善財童子) (0) | 2019.07.07 |
33관음 보살-양류 관음·어람관음 (0) | 2019.07.05 |
33관음 보살(수월관음·지경관음) (0) | 2019.07.03 |
아미타불 (0) | 2019.07.02 |
문수보살(文殊菩薩) (0) | 2019.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