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산점집249

나옹선사 발원문 나옹선사바라오니 이내몸이 세세생생 날적마다-원아세세생생처(願我世世生生處) ​ ​ 반야지혜 좋은인연 물러가지 아니하여-상어반야불퇴전(常於般若不退轉 ​ ​ 우리본사 세존처럼 용맹하신 뜻세우고-여피본사용맹지(如彼本師勇猛智) ​ ​ 비로자나 불과같이 등정각을 이룬뒤에-여피사나대각과(如彼舍那大覺果) ​ ​ 문수사리 보살처럼 깊고밝은 큰지혜와-여피문수대지혜(如彼文殊大智慧) ​ ​ 보현보살 본을받아 크고넓은 행원으로-여피보현광대행(如彼普賢廣大行) ​ ​ 넓고넒어 가이없는 지장보살 몸과같이-여피지장무변신(如彼地藏無邊身) ​ ​ 천수천안 관음보살 삼십이응 몸을나눠-여피관음삼이응(如彼觀音三二應) ​ ​ 시방삼세 넓은세계 두루돌아 다니면서-시방세계무불현(十方世界無不現) ​ ​ 모든중생 지도하여 열반법에 들게할제-보령중생입무.. 2019. 6. 18.
선정(禪定) 불교의 근본적인 수행 방법 중에 하나로서 반야(般若)의 지혜를 얻고 성불하기 위해서 마음을 닦는 수행이다. 정통 불교에서는 이무심정(二無心定), 사공정(四空定), 사정(四定), 팔정(八定), 구차제정(九次第定) 등의 수행 방법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원효가 앞장서서 주장한 사상으로 구심주법(九心住法)과 좌선이 보편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구심주는 1,내주(內住: 내면적이 됨) 2, 등주(等住: 평등하게 됨) 3, 안주(安住: 평안하게 됨) 4, 근주(近住: 가까이 머무름) 5, 조순(調順: 조절하여 순하게 됨) 6,적정(寂靜: 고요함) 7, 최극정(最極靜: 지극히 고요함) 8,전주일취(專住一趣: 오로지 한 가지 길에 머무름) 9,등지(等持: 한결같이 마음을 유지함) ​ 그러나 이 구심주를 닦기 전에 고요한.. 2019. 6. 13.
정진(情進) 육바라밀(六波羅蜜) 중 네 번째 덕목 불교에서는 게으름과 (해태-懈怠) 방관(방일-放逸) 하는 태도는 악법이다. 해태심과 방일심을 없애는 것이 바로 정진이다. 부지런히 노력하여야 한다. ​ 정진은 다섯 가지로 나뉜다. ​ 1,피갑정진(被甲精進)-입을 피, 갑옷 갑, 정할 정, 나아갈진 병사가 갑옷을 입고 전쟁터에 들어가 두려움 없이 싸우는 것과 같이 매사에 굴복하지 않고 당당하게 큰 용감함을 발휘하여 중생을 구제하고 악을 제거하는 보살행(菩薩行)을 실천하는 것이다. 유세 정진(有勢精進)이라고도 한다.(있을 유, 형세 세, 정할 정, 나아갈진) ​ 2,가행정진(加行精進)-더할 가, 다닐 행, 정할 정, 나아갈진 유근정진(有勤精進)-(있을 유, 부지런할 근, 정할 정, 나아갈진)이라고도 한다. 용감하고 근면.. 2019. 6. 12.
수행자의 마음가짐 지계(持戒) 부처가 제자들의 부도덕한 행위를 막기 위하여 설정해 놓은 법규를 지키고 범하지 않는 것에서 출발하여 선을 실천하고 모든 중생을 살찌게 하는 행위이다. ​ 본래의 청정한 마음을 회복하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다. ※사분율(四分律) ;출가한 승려가 불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계율을 자세히 기록한 불교의 율전 ​ ▶사분율에서 부처님이 계율을 정하신 이유가 10가지가 있다. ​ 교단의 질서를 잡기 위해서요 대중을 기쁘게 하기 위해서이며 대중을 안락하게 하기 위함이며 믿음이 없는 이를 믿게 하기 위해서이고 이미 믿는 이를 더욱 굳세게 하기 위함이다. 또 다루기 어려운 이를 잘 다루기 위해서고 부끄러운 줄 알고 뉘우치는 이를 안락하게 하기 위함이고 현재의 실수를 없애기 위해서이고 미래의 실수를 막기 위해.. 2019.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