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속백과

집 안의 신들

by 레일라와 2018. 12. 6.
반응형

가장이 주관하는 제사, 주부가 관장하는 고사


조선조를 보면 집안에서 중요한 두 가지 의례가 정기적으로 행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이 주관하는 "제사"와 주부가 관장하는 "고사"가 그것입니다.

우리가 아직도 행하고 있는 고사는 바로 이 주부들이 행하던 고사의 연장입니다.

제사는 아직도 많은 사람이 지내고 있습니다만

고사는 집에서는 거의 사라지고 이렇게 사회 관습으로만 남았습니다.


사실 집에서 하는 고사는 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고사란 집안에 산다고 믿어지는 신들에게 올리는 제사였습니다.

이전에는 집 안 곳곳에 신들이 살았습니다.

그런데 이젠 한국인들의 일반적인 주거 형태가 아파트로 바뀌었습니다.

집의 구조가 너무나 달라져 이전의 신들이 있을 데가 없어졌습니다.

그런데 이 가신 신앙과 고사 역시 우리의 훌륭한 전통이고 현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기 않습니다.


성주단지. 집의 가장을 수호하는 성주신을 모시는 단지이다. <출처: 한국민속종교연구소 장정태>




고사란 매우 특이한 의례입니다.

여성인 주부가 집전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처럼 가부장 문화가 횡횅하는 사회에서 여성이 의례의 주인공이 된다는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고사는 원래 10월의 추수가 끝난 다음에 지냈는데 형편이 닿으면 무당을 불러 지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의례가 끝나면 신에게 바쳤던 떡을 이웃들과 나누었습니다.


이 때 주부가 모셨던 신 가운데 가장 중요한 신은 성주신입니다.

성주신은 그 집의 가장을 수호하는 신인데 전통적으로 집의 대들보에 산다고 전해집니다.

집 건물에서 제일 중요한 게 대들보이고 집안에서 제일 중요한 존재가 가장이라 생각해서 이 돌은 유추해 

연관시킨 것 같습니다.

이 대들보가 있는 공간은 마루입니다.

마루는 집안에서 가장 성스러운 공간입니다.

마루는 제사나 굿 같은 신성한 종교의례가 벌어지는 곳이고 결혼식처럼 중요한 행사가 치러지는 곳입니다.

이에 비해 안방은 세속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곳에서 태어나고 먹고 자고 그러다 죽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성주신의 몸체는 지방마다 다른데 일반적으로 작은 단지에 쌀을 넣어서 표현합니다.

이것을 마루 귀퉁이나 대들보에 올려놓지요.

고사는 이 성주신에게 치성을 드리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정성스럽게 시루떡을 해서 그 위에 북어나 실타래 같은 것을 놓습니다.

여기에 촛불을 켜놓기도 하는데 막걸리 한 사발을 올리는 것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주부는 여기에 절을 하고 손을 비비면서 올 한 해를 무사히 넘긴것을 감사해하고 앞으로의 복을 빕니다.



안방을 주관하는 삼신할머니와 부엌을 주관하는 조왕신


그 다음으로는 생활공간인 안방으로 가서 그곳을 주관하는 신께 예를 올려야 합니다.

이 신은 보통 삼신할머니로 알려져 있는데 아이들의 수태부터 임시ㄴ,출산,양육까지 모든 과정을

지켜주는 아주 자애로운 신입니다.

아이들의 수호신령인 셈이죠.

그런데 이 신을 할머니로 묘사하는 게 재미있지 않나요?

할머니는 긴 인생을 살아 아주 노련합니다.

그 노련함으로 출생이나 사망처럼 안방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사건들을 해결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게 분명합니다.

이 신을 위해서는 벽 위쪽에 작은 단지를 모셔놓고 그 안에 쌀이나 보리 같은 귀한 곡식을 넣은 다음 한지로 덮어놓습니다.

삼신할머니께는 이 때만 제사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낳은 다음에도 합니다.

"삼신메"라는 밥을 해서 이 신께 바치면서 산모와 아이가 건강하게 해달라고 비는 것이 그것입니다.


그 다음은 부엌입니다.

부엌은 밥을 하는 곳이니 아주 중요한 곳입니다.

이 곳에는 당연히 불이 있는데 불은 많은 사회에서 신성시되어 왔습니다.

불이란 모든 것을 태워버릴 수 있기때문에 정화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 불이니 불을 신성시 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겁니다.

그래서 부엌에는 조왕신이라는 신을 모셨습니다.

이 신은 사는 곳이 부뚜막 위이기 대문에 이곳에 깨끗한 물을 담은 사발을 놓았습니다

주부는 매일 이 사발의 물을 새 물로 갈고 합장을 하면서 예를 갖추었습니다.

사실 이 조왕신은 중국 도교에서 모셔지던 신입니다.

삼신할머니가 토속신인 데에 비해 조왕신은 외래신이지요.

요즘에 이 신을 모신 현장을 보려면 절에 가면 됩니다.

절의 아궁이를 보면 한자로 조왕신이라고 쓴 곳을 아직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안방을 관장하는 삼신할머니에게 바치는 상인 삼신상(왼쪽)과 부엌과 불을 관장하는

조왕신(오른쪽)의 모습. <출처: 한국민속종교연구소 장정태>


신들이 집에 거주한다고 믿음으로서 주거지를 신성하게 여겼던 우리 조상들


그 다음의 큰 신으로는 터줏대감 혹은 터주신이라 불리는 신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신령은 말 그대로 집터를 관장하는 신입니다.

우리가 일상용어에서 "터줏대감"이라 하는 것은 바로 여기에서 온 것입니다.

이 신은 집터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관장한다고 하는데 욕심이 많아 밖에 있는 것을 안으로 끌어들이는 

속상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부자가 되려면 이 신을 잘 모셔야 한다고 하지요.

이 신은 보통 뒤뜰 장독대에 항아리에 햅쌀을 담아 모십니다.

항아리 위에는 깔때기 모양으로 된 짚을 덮어 놓지요.

이 안에 있는 쌀은 다음 해에 새 쌀로 바구면서 떡을 해서 먹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을 이 때 한 떡은 절대로 남에게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아마 자신들의 복이 새어 나갈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 것 같습니다.


집 안에는 작은 신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집안의 재산을 지킨다는 "업신"이 있습니다.

재산을 관장해서 그런지 이 신은 광(창고)에 산다고 전해집니다.

이 신과 관련해 재미있는 것은 사람들이 초가의 지붕에 살곤 했던 뱀이나 구렁이가 이 신이라고 믿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동물을 잡지 않았는데 거꾸로 이 동물이 집을 나가면 망한다는 속설도 전해집니다.

그런가하면 변소에는 "측신"이 있었습니다.

이 측신은 "변소각시"라 해서 하얀 옷을 입고 머리카락을 무릎까지 풀어해친 처녀로 묘사됩니다.

왜 청결하지 못한 변소와 처녀를 연결시켰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전에는 변소에 들어갈 때마다 헛기침을해서 인기척을 이 신령에게 알렸다고 합니다.

이 이외에 문지방에 사는 신 등 다른 작은 신들이 더 있지만 이런 것들을 일일히 다 볼 필요는 없게습니다.


이제 이런 신앙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앞서 말한대로 주거구조가 현저하게 바뀌어 그렇게 된 것이니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조상들은 집에 신들이 거주한다고 믿음으로서 자신들의 주거지를 신성시 했다느 것입니다.

현대인들에게 집은 그저 무정물이고 어떤 때에는 투자의 대상에 불과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집 안에서 살았던 우리의 삶이 소중하다면 그 그릇인 집도 소중한 것입니다.

우리 주위에서 수십 년 정들게 살았던 아파트를 재건축하겠다고 부수면서 "경축"이라고 쓴 현수막을 걸어놓는 경우를 가끔 봅니다.

이것은 집을 투자대상 이상으로 보지 않는 것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집을 소중하게 생각했던 조상들의 혜안이 그리워집니다.



<출처: 한국민속종교연구소 장정태>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와룡당 | 와룡당 | 경기도 일산동구 장항동 중앙로1275번길 38-10 우림로데오스위트 | 사업자 등록번호 : 248-37-00419 | TEL : 010-8666-7921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8-고양일산동-0198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무속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제자를 위한 축원문  (0) 2018.12.10
굿에서 대감은 단군왕검이다  (0) 2018.12.09
횡수막이(홍수매기).액막이  (0) 2018.12.08
열두달 액풀이  (0) 2018.12.05
동자연명경  (0) 2018.12.04
전안축원문  (0) 2018.12.03
신명축원문  (0) 2018.12.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