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역2

발양광대(發揚光大) 발양광대(發揚光大)- 크게 떨쳐 일으키다, 앞사람의 것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시키다. [필 발(癶/7) 날릴 양(扌/9) 빛 광(儿/4) 큰 대(大/0)] 앞 시대의 선인의 업적은 훌륭하게 계승되기를 원한다. 대학자에게는 여러 학인들이 모여들어 가르침 받기를 원한다. 마찬가지로 학자도 여러 문인들이 각지서 오고, 자신의 연구와 학통이 이어지는 것이 가장 큰 자랑일 것이다. 스승은 제자들이 미흡하더라도 무한한 가능성을 지녀 두려워해야 한다고 後生可畏(후생가외)라 했고, 학문을 닦음에 따라 능가할 후배라도 靑出於藍(청출어람)이라며 오히려 더 흐뭇해했다. 이에 따라 학인들은 스승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시키려 노력한다. 마음, 기운, 재주 등을 떨쳐 일으키는 것이 發揚(발양)이다. 인재를 뽑아 키우는 것도.. 2018. 7. 13.
간위명물리(艱危明物理) 간위명물리(艱危明物理)간위명물리 艱危明物理 艱(어려울 간) 危(위태로울 위) 明(밝을 명) 物(물건 물) 理(다스릴 리) [시련 속에서 사물의 이치를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역경이 없는 삶은 단조롭다. 공감 결여다. 시련 속에 자신을 돌아보고 단련시켜야 삶이 튼실하다. 겨울이 추울수록 봄에 피는 꽃이 더 곱고, 염천을 이긴 과일이 더 향긋한 바와 같다. 맹자가 “사람이 훌륭한 덕행과 지혜, 학술과 지식을 갖게 되는 것은 언제나 환란 속에서 얻게 된다(人之有德慧術知者 恒存乎?疾)”고 가르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맹자의 말은 이어진다. “하늘이 장차 큰일을 어떤 사람에게 맡기려 할 때는 반드시 먼저 그 마음을 괴롭히며, 그 근골을 지치게 하며, 그 육체를 굶주리게 한다. 그 생활을 곤궁하게 해서 행하는 일이.. 2018. 5.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