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19/0621

법화경-회삼귀일-독각승(연각승獨覺乘),보살승(菩薩乘) 벽지불(辟支佛) 또는 독각(獨覺)이라고도 한다.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 세 가지의 수행 방법 중 하나인데 독각승(연각승)은 다른 가르침에 연연하지 않고 스스로 인연의 법을 관찰하여 깨달음을 얻는 수행이다. 쉽게 말해 다른 수행들은 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구제하는 것이지만 독각승(연각승)은 자신만의 깨우침을 목적으로 다른 사람을 지도하거나 제도하지 않는 독선이다. ​ 여기에서 인연의 법이란 12인연법을 말하는 것이다. 12인연법(연기법)이란 해탈을 하는 방법(방편)을 말한다. 인간이 죽음을 포함한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해답을 말한다.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는 우연이나 숙명이 아닌 인간의 무지에서 비롯된 필연적인 결과인 것이다. 인연법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무명(無明)→행(行)→식(識)→명색(名色.. 2019. 6. 29.
법화경-회삼귀일-성문승(聲聞乘) 성문승은 삼승의 하나로서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부처의 가르침이나 수행법을 말한다. 성문의 경지인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① 성문(聲聞)들 가운데 최고의 성자. 욕계·색계·무색계의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 이 경지를 아라한과(阿羅漢果), 이 경지에 이르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를 아라한향(阿羅漢向)이라 함. ② 존경받을 만한 불제자. ③ 고대 인도의 여러 학파에서, 존경받을 만한 수행자를 일컫는 말. ​ [네이버 지식백과] 아라한 [阿羅漢]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곽철환) 고집멸도(苦集滅道) 사성제를 통한 수행이다. 불교의 사성제는 사제(四諦), 사성제(四聖諦), 사진제(四眞諦)라고도 한다. 삶을 살아가는 데 있는 괴로움-그 괴.. 2019. 6. 28.
법화경-회삼귀일(會三歸一)1 법화경의 핵심 사상은 회삼귀일(會三歸一)이다. 회삼귀일이란 3승이 일불승(一佛乘)으로 통일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3승이란?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을 말한다. 성문승과 연각승은 홀로 이 세상의 온갖 번뇌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소승불교이고 보살승은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승불교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본래 부처님의 진정한 가르침은 하나이지만 중생들이 그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까닭에 여래는 방편을 써서 삼승을 말하였다. 이것을 삼승방편 일승진실(三乘方便 一乘眞實)이라고 부른다. 불교의 목적은 일체중생을 성불하게 만드는 것이지 일부 특정인만을 위한 교리가 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이 교리는 너무 어려워서 보통 사람들은 이해할 수 없으니 모든 사람들에게 같은 방법으.. 2019. 6. 27.
법화경(法華經) 화엄경(華嚴經), 금강경(金剛經)과 함께 대승삼부경(大乘三部經)을 이룬다. 대승불교에서의 "법화경"은 일반적으로 "묘법연화경"을 가리킨다. 법화경은 모두 7권 28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교 경전 중에 가장 넓은 지역과 수많은 민족들의 대승경전이라고 볼 수 있다. 법화란? 대화엄의 바다인 우주에 핀 한 송이의 거대한 연꽃을 표현한 것으로(우주의 성단)을 표현한 (실상의 법)을 뜻한다. 모든 만물에는 꽃처럼 인생처럼 향기로운 것이 있는데 이것을 알 때는 법이 꽃처럼 바로 생겨 안락하고 성불을 이룬다. ​ 법화 4부경(보상도의 소위 경전) 1, 정본 ; 반야바라밀다심경-보살도 입문서-연꽃의 잎을 묘사한 경 2,무량의경 ; 보살도 성취의 경-연꽃의 꽃대를 표현한 경 3,묘법연화경 ; 보살마하살의 과정과 일불승.. 2019. 6. 26.
반응형